top of page

천지오방차(天地五方茶)

  • gayewon
  • 2016년 1월 12일
  • 4분 분량

서구의 물질 문명에 밀려서인지, 우리 전통 사회의 기본적인 덕목인 인의예지신이 우리의 생활 속에서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인의예지신으로 요약 되는 유교의 덕목들을 배우고 이를 실천하는 것을 사람 된 도리로 알아왔다.

동양예절(東洋禮節)의 기원은 실천 도덕(道德)인 유교(儒敎)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한국(韓國)의 전통예절(傳統禮節) 또한 근본정신(根本精神)은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신(信)으로 요약되는 유교의 덕목에 기본을 두고, 인륜을 가르쳐 왔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서구의 물질문명에 밀려서인지, 우리 전통문화의 기본적인 덕목들이 생활 속에서 사라지고 있는 것 같다.

인(仁)은 어질고 착한 마음을 갖는 것이며, 의(義)는 의리를 알고 지킬 줄 아는 충성심이며, 예(禮)는 다른 사람이 대신 할 수 없고 스스로 실천하는 것이며, 지(智)는 이성과 지혜를 터득하는 학문을 의미하며, 신(信)은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신용의 도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조선왕조는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동서남북에 사대문을 세웠는데, 동대문은 흥인지문(興仁之門)으로, 서대문은 돈의 문(敦義門)으로,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으로, 북쪽에는 肅淸門 (숙청문)을 세우고 바깥에 홍지 문(弘智門)을 따로 세웠으며, 수도의 중앙에는 보신각(普信閣)을 세워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신(信)의 덕목들을 나타내는 글자를 한 글자씩 넣어서 作名하였는데, 그 작명들은 홍익인간(弘益人間)으로서의 倫理道德을 근본으로 삼고 충실히 행하라는 의미라 할 수 있다.

이를 찻자리에도 접목하여 1998년 덕수궁 중화전에서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신(信)사상에 중심을 두고 하늘과 땅, 그리고 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방향에 차석을 마련하는 천지오방차라 이름 붙여 처음 시하였다.

우리 문화의 독특하고 다양한 철학은 한국의 차문화에도 담겨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잊혀져 가는 우리의 전통예절(傳統禮節)을 전수하고 전통 문화가 다시 한번 우리 주변으로 확산되기를 기원하며, 그 철학을 찻자리에 접목하여 1998년 덕수궁 중화 전에서 하늘과 땅, 그리고 동서남북, 중앙의 모두 일곱 방향에 차석을 마련하는 천지오방차(天地五方茶)라고 한다.

다도는 우리의 문화의 독특하고 다양한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한다. 천지오방차에는 음양오행에 기초로 두고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신(信)의 유교적 의미와 자신을 낮추고 천지신명을 존중하는 우리민족의 민간신앙이 형상화된 종교적 의미가 담겨있다.

하늘을 상징하는 천의 찻자리와 땅을 상징하는 지의 찻자리를 중심축으로 어질고 착한 마음을 갖고 다른 사람을 사랑 할 줄 알게 하는 인을 동쪽 차석으로, 의리를 알고 지킬 줄 아는 충직한 마음의 의를 서쪽 차석으로 배치하였고, 다른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사양 할 줄 알며 질서를 지키고 실천하는 예를 남쪽 차석으로, 이성과 지혜를 터득하기 위한 학문의 정진을 의미하는 지를 북쪽 차석으로,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믿음의 도리를 의미하는 신의 차석을 중앙에 배치하였다.

행다 시연자 7명과 죽비를 칠 집사의 복식을 흰색 한복으로 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우리의 복색인 소색의 깨끗하고 신성함으로 하늘과 땅 그리고 공기 중의 모든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깨끗하게 정화함을 의미한다.

  1. 종교적 예의를 나타내는 초와 향을 사른다.

  2. 차를 준비하는 팽주 7명이 각 방향에 들어가 접빈에게 예를 올린다.

  3. 죽비가 울리면 천신과 지신에게 합장하며 팽주는 차 다리기 위한 마음으로 예를 올린다.

  4. 파란색 다포, 노란색, 빨간색 다포순으로 덮는다.

  5. 찻잔을 바로 놓는다.

  6. 주머니에게 차통을 꺼낸다.

  7. 예열

  8. 차를 넣는다.

  9. 차를 우린다.

  10. 잔에 차를 따른다.

  11. 첫째 잔의 차를 하늘에 올리고 과반에 차와 다식을 함께 손님들에게 낸다.

  12. 손님 접대 후 합장하고 하늘에 올린 차를 들어 세 번 땅에 부어 땅에 차를 올린다.

  13. 찻자리를 정리한다.

  14. 예를 표한다.

이상은 7가지를 갖추어야만 비로소 사람의 구실을 할 수 있기에 이 칠덕사상을 바탕으로 한 찻 자리를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우며 예의 실천에 노력하고 있다.

들차 형식을 갖는 천지오방차는 자연과 신과 인간이 하나 되어 차를 나누고 즐기는 찻자리로, 東洋의 思想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하늘을 상징하는 天의 찻자리와, 땅을 상징하는 땅의 찻자리를 중심으로 하고 동(東) – 서(西) – 남(南) – 북(北) – 중앙(中央)을

표현하는 일곱 방위에 각각 차석을 마련한 것입니다.

일곱 방위의 의미는 먼저 天은 忠으로서 나라에 忠誠함이며, 地는 孝로서 부모님께 孝道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동(東) – 서(西) – 남(南) – 북(北) – 중앙(中央)의 다섯 가지 방위는 각각 仁-義-禮-智-信의 오상(五想)을 의미하는 것으로, 東은 仁으로서 어질고 착한 마음을 갖고 다른 사람을 사랑할 주라는 것이며, 西는 義로서 의리를 알고 지킬 줄 아는 忠誠心이며, 南은 禮로서 다른 사람이 대신 할 수 없고 스스로 실천하는 것이며, 北은 智로서 배우고 깨우치는 것이며, 中央은 信으로서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信用의 道理를 意味하는 것으로, 이상 다섯 가지를 갖추어야만 비로소 사람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아울러 종교적 領域에서도 그 思想을 찾을수 있는데, 天地는 곧 萬物이고 그 萬物의 根源은 自性이 청정한 마음이며, 그 마음에 禮가 없으면 사람과 神과의 調和를 이룰 수 없고, 이러한 마음을 깨쳐서 인간의 道理를 이루는 것에 그 뜻을 두고 있기 때문에, 天地와 五方은 忠孝와 五想 을 의미하며 또한 淸淨한 마음과 오계를 의미하기 때문에 불교와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五方은 오계와 관련하고 있으며, 東은 仁으로서 어진 마음으로 남을 불쌍히 여겨 해치지 않는 것으로 불살생계인 것이며, 西는 意로서 謙讓(겸양)하여 淸廉(청렴)함을 받들고 자기를 낫추고

남에게 베푸는 것으로 불우도계인 것입니다. 南은 禮로서 일정한 規律(규율)로 規制(규제)하는 것이므로 불사음계인 것이며 北은 智로서, 智慧로 성찰하여 바르고 치우치지 않는 불음주 계를

의미하며, 中央은 信으로서 믿음으로 맺어서 속이지 않는 불망오계를 의미합니다.

천지오방차(天地五方茶) 차석(茶席)의 의미는 天地陰陽의 氣를 포용해서 喜怒哀樂의 精이 있게 되는 것이므로 陰陽 五行(木, 火, 土, 金, 水)에 기초를 두고, 仁 義禮智信의 思想을 中心으로 자신을 낮추고 天地神命을 尊重하는 우리 民族의 思想과 民間信仰을 形象化하는 意味를 表現한 찻자리입니다.

다기(茶器)는 오행(木, 火, 土, 金, 水)을 다섯 방위에 결부 시키고 그 의미와 상징을 색채의 개념과 일치시켜 나타내는 오방색 다기를 사용하였다. 방위에 결부시켜 색채의 개념과 상징을 나타내는 일곱 가지 색 다기를 사용하였으며, 하늘은 적색, 땅은 남색, 태양이 떠오르는 동(東) 방향의 방향은 나무(木)로 상징하여 부활과 탄생을 의미하는 녹색의 다기를 사용하였으며, 서(西) 방향은 금(金)으로 순결과 진실과 깨끗함을 상징하여 우리민족이 즐긴 흰색의 다기를, 남(南)의 방향은 불(火)로 작열하는 태양처럼 왕성한 생명력을 의미하는 분홍색의 다기를 사용하였으며, 북쪽(北)의 방향은 물(水)로 인간의 지혜를 상징하는 검은색의 다기를, 중앙은 오행 가운데 우주의 중심에 해당하는 흙(土)으로 가장 고귀한 황금색으로 인식되어 임금의 의복에 사용되었던 황색의 다기를 사용하였다.

차호는 오방색의 주머니에 넣은 것을 만물의 조화로 탄생 된 신성한 차를 고귀하고 소중하게 여기고 다룸을 의미한다.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다포를 사용하여 다기와 다식을 덮은 것은, 빨간색은 양(陽)의 색으로 하늘(天)을, 파란색은 음의 색으로 땅(地)을 상징하기 때문이며, 노란색 다포는 하늘과 땅 사이에 사는 인간을 상징한 것으로, 이러한 것은 우주의 森羅萬象이 陰陽 五行에 根據함을 나타낸 것이다.


 
 
 

Comments


 © 2015 Wix.com을 통해 제작 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가예원에 귀속됩니다.

bottom of page